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생물학32

[세포생물학] 반복적인 DAN 서열 - SINE, LINE, DNA 전위인자 인트론은 고등 진핵생물 유전체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. 예를 들어 인간의 경우 전체 유전체의 35 %를 인트론이 차지하고 있다. 하지만 인트론보다 훨씬 많은 부분이 비암호화 서열로 구성되어 있으며, 이러한 서열이 유전체당 수십만 개의 여분으로 존재하기도 한다. 반복적인 DNA 서열 고도로 반복되는 염기서열은 몇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. 단순서열 반복 (Simple sequence repeats)이라 불리는 유형은 1 - 500 개의 뉴클레오타이드로 이루어진 짧은 서열이 수천 번 직렬로 반복되어 있는 형태다. 예를 들어 초파리에서 볼 수 있는 단순 서열 DNA이 한 형태는 ACAAACT로 된 7 개의 염기가 반복되는 구조이다. 반복서열의 독특한 연기구성 때문에 많은 단순서열 DNA는 CsCi 밀도구배.. 2023. 3. 3.
[세포생물학] 유전자 중복이 나타나는 이유 - 유전자군, 유전자 중복 역전사에 의해 만들어진 중복유전자는 DNA 새로운 위치에 삽입된 후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. 닥스훈트나 바셋하운드와 같은 특정 품종의 견종에서 볼 수 있는 짧은 다리와 관련 있는 유전자들이 대표적이다. 이는 뼈 성장을 저해하는 유전자의 역전위 현상의 결과로 나타난다. 유전자 중복이 나타나는 이유 진핵세포 유전체가 커지게 된 또 다른 이유는 많은 유전자가 여러 번 반복되어 존재하기 때문인데, 이런 유전자들 중 일부는 대부분 기능이 없다. rRNA나 히스톤과 같이 많은 양이 RNA나 단백질이 필요한 경우에 이들을 합성하기 위해서 여분의 유전자가 필요하다. 또 다른 유전자 반복이 나타나는 예는 유전자군 (Gene Family)이다.이다. 유전적으로 유사하여 서로 관련된 유전자들 그룹을 유전자 군이라 하는데, .. 2023. 3. 2.
[세포생물학] 진핵생물 유전체의 복잡성, 인트론, 엑손, 인트론 존재 이유 모든 DNA 가 전사되고 단백질로 번역되는 것은 아니다. 진핵생물의 DNA는 유전정보가 암호화된 엑손과 암호화되지 않은 인트론으로 구분된다. 하지만, 인트론이 아무 역할도 수행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. 그렇다면 인트론은 왜 존재하는 것인지. 기본적인 개념부터 인트론의 존재이유까지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. 진핵생물 유전체의 복잡성 진핵생물의 유전체는 대체적으로 원핵생물 보다 훨씬 크고 복잡하다. 보통 더 복잡한 생물에 더 많은 유전자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, 진핵생물의 큰 크기는 그리 놀라운 것은 아니다. 하지만, 유전체의 크기가 크다는 것이 유전적으로 더 복잡한, 고등생물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. 예를 들어, 도롱뇽이나 백합은 사람보다 10 배나 많은 DNA를 가지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더 단순하다. .. 2023. 3. 1.
[세포생물학] 세포 성분의 분획– 분별원심분리법, 밀도구배원심분리법 전자현미경이 발전함에 따라 세포의 구조를 세밀하게 관찰할 수 있게 되었다. 하지만, 진핵세포 세포소기관의 기능적인 부분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세포소기관을 분리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원심분리법이 개발되었다. 분별원심분리 (Differential Centrifugation) 세포소기관은 크기와 밀도차를 이용해 분리할 수 있다. 1940 – 50 년대 Albert claude, Chrisian de Duve와 같은 과학자에 의해 세포 성분을 밀도와 크기에 의해 분리하는 분별원심분리법이 개발되었다. 세포소기관을 나누기 위해서는 먼저 세포 구성성분을 보존하면서 원형질막을 파쇄해야 한다.초음파나 homogenizer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는데 세포막과 소포체를 분쇄하여 작은 조각으로 만들지만 나머지 세포 구성성분,.. 2023. 2. 28.
728x90
반응형